[일반기계기사]유압공학 part 최다빈출 정리
지난번 업로드한 기계재료 part와 마찬가지로
이번에 업로드한 유압공학 part, 앞으로 업로드할 기계제작법 part는
외워야하는 양이 엄청 많은 part입니다.
고득점이 아닌 합격이 목표인 시험이기 때문에
이런 part들은 기출에 많이 나온 부분들을 먼저 공부하고
시간이 여유있거나 불안하다면 그 나머지 부분들을 공부해서 채워가는 식의
공부법이 좋을 듯 합니다.
제 1장. 유압기기의 일반사항
•파스칼의 원리
밀폐된 용기 속에 있는 액체에 가한 압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은 크기(세기)로 작용한다.
유압 프레의 작동원리의 바탕이며 사용예시로는 유압잭이 있다.
•유압장치의 장,단점
①장점
-입력에 대한 출력의 응답이 빠르다.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원격 조작이 가능하다.
-힘과 속도를 자유로이 변속시킬 수 있다.(무단변속이 가능)
②단점
-유온의 영향을 받으면 점도가 변하여 출력효율이 변화하기도 한다.
•유체의 토크 컨버터
-구성요소 : 펌프날개차, 터빈날개차, 정지스테이터 등
-오일의 유속에 의하여 작동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오일의 점성을 이용한 기계
•유체 컨버터의 특징
-무단 변속을 할 수 있다.
-원동기와 종동기 모두 수명이 연장된다.
-과부하 때문에 기관이 정지하거나 손상되는 일이 없다.
•베르누이의 정리에서 전수두란?
에너지선(=전수두선) = 압력수두 + 속도수두 + 위치수두
제 2장. 유압작동유
•유압작동유의 구비조건
-비압축성
(동력전달 확실성 요구 때문)
-장치의 운전온도범위에서 회로내를 유연하게 유동할 수 있는 적절한 점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or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적을 것
(동력손실 방지, 운동부의 마모방지, 누유방지 등을 위해)
-장시간 사용하여도 화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한다. or 녹이나 부식 등이 방지되어야 할 것
-적합한 유막 강도가 있고 윤활성이 좋을 것
-열을 잘 방출할 수 있을 것
•유압 작동유에 수분이 혼입될 때의 영향
-작동유의 열화 촉진
-공동현상 발생
-유압기기의 마모촉진
-작동유의 방청성, 윤활성 저하
-작동유의 산화촉진
•점도지수(Viscosity index)
-온도변화에 대한 점도변화율
-점도지수가 크면 온도에 대한 점도 변화가 작다.
-따라서 유압 작동유 선정시 점도지수가 큰 것이 좋다.
•유압유의 점도가 낮은 경우
-내부오일의 누설 증대
-압력유지의 곤란
-유압펌프, 모터 등의 용적효율 저하
-기기마모의 증대
-압력발생저하로 정확한 작동불가
•유압유의 점도가 높은 경우
-동력손실 증가로 기계효율 저하
-소음이나 공동현상 발생
-유동저항의 증가로 인한 압력 손실의 증대
-내부 마찰의 증대에 의한 오도 상승
-유압기기 작동의 불활발
•캐비테이션 현상(공동현상, Cavitation)
-여과입도가 너무 높으면 흡입능력이 떨어져 압력강하가 증가하게 되고 압력이 한계이하로 떨어지면 발생
-유동하고 있는 액체의 압력이 국부적으로 저하되어, 증기나 함유 기체를 포함하는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
•공동현상(cavitation)의 방지책
-흡입관 내의 평균유속이 3.5m/s 이하가 되도록 한다.
•난연성 작동유(fire resistant fluid)의 종류
①합성계 작동유 : 인산 에스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②함수계(수성계) 작동유 : 수중유형 작동유, 유중수형 작동유
cf)인산 에스테르형 작동유는 점도지수가 낮고 비중이 가장 커 저온에서 펌프 시동 시 캐비테이션(공동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제 3장. 유압펌프
•베인펌프의 특징
-토출압력의 맥동이 적고, 소음이 적다.
-압력저하량이 적다.
-형상치수가 적다.
-가동토크가 작다.
-호환성이 좋고 보수가 용이하다.
-베인수명이 짧다.
-베인 마모로 인한 압력저하가 적어 수명이 길다.
-작동유의 점도, 청정도 등에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다른 펌프에 비해 푸품수가 많다.
-작동유의 점도에 제한이 있다.
•피스톤펌프 vs 기어펌프
-피스톤펌프 : 레이디얼 피스톤 펌프, 액시얼 피스톤 펌프로 구분
-기어펌프 : 내접식, 외접식으로 구분
cf)피스톤 펌프(=플런저 펌프) : 가장 압력이 높으며, 펌프 중 가장 효율이 좋다.
•유압펌프의 전효율
•유압펌프의 동력
제 4장. 유압제어밸브
•유압제어의 3대 밸브
①방향제어밸브
-체크밸브, 스풀밸브, 감속밸브, 셔틀밸브, 전환밸브
②압력제어밸브
-릴리프밸브, 시퀀스밸브, 무부하밸브, 카운터밸런스밸브, 감압밸브
③유량제어밸브
-교축밸브, 유량조절밸브, 분류밸브, 집류밸브, 스톱밸브(정지밸브)
cf)
체크밸브 : 역류방지
릴리프밸브 : 시스템 내의 최고압력을 설정하는 밸브
시퀀스밸브 : 작동 순서 부여
카운터밸런스밸브 : 부하가 급격히 변했을 때 배압을 걸어주어 자유낙하 방지
제 5장. 유압 액추에이터
(개인적으로 출제 비중이 매우 적다고 생각됩니다...)
•유압모터(베인모터)가 발생할 수 있는 최대 토크(T)는?
제 6장. 유압부속장치
•축압기(accumulator)의 용도
-유압에너지 축적
-압력보상
-서지압력방지
-충격압력흡수
-유체의 맥동 감쇠(맥동흡수)
-사이클 시간 단축
-2차 유압회로의 구동
-펌프대용 및 안전장치의 역할
-액체수송(펌프작용)
-에너지의 보조
•플랜지 이음
-고압, 저압에 관계없이 대관경의 관로용에 쓰이며 분해, 보수가 용이하다.
-수개의 볼트에 의하여 조임이 분할되기 때문에 조임이 용이하여 대형관의 이음에 편리한 관이음 방식
•플레어리스 관 이음쇠
-관의 끝을 넓히지 않고 관과 슬리브의 먹힘 또는 마찰에 의하여 관을 유지하는 관이음쇠
•스트레이너
-작동유 속에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품
•버플
-오일 탱크로 돌아오는 오일과 펌프로 가는 오일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함
제 7장. 유압회로 및 응용
•미터인회로, 미터아웃회로, 카운터밸런스회로, 로크회로, 블리드오프회로 위주로 공부 시작!
제 8장. 유압용어
•채터링(chattering) 현상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릴리프 밸브에 발생되기 쉬우며 밸브시트를 두둘겨서 비교적 높은 음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자력진동현상을 말함
•인터플로(interflow)
-밸브의 전환 도중에서 과도적으로 생기는 밸브 포트 사이의 흐름
•크래킹 압력
-릴리프 또는 체크밸브에서 압력이 상승하여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는 압력
•리시트 압력
-릴리프 또는 체크밸브에서 압력이 강하하여 밸브가 닫히기 시작하는 압력
•플래싱(flashing) or 플러싱(flushing)
-유압장치내의 이물질 제거의 목적
•패킹 & 가스킷
-패킹(packing) : 운동부분에 사용되는 실(seal)
-가스킷(gasket) : 고정부분에 사용되는 실(seal)
•초크 & 오리피스
-초크(choke) : 길이가 단면 치수에 비해서 비교적 긴 죔구(restiriction)
-오리피스(oriffice) : 길이가 단면 치수에 비해서 비교적 짧은 죔구(restiriction)
제 9장. 유압, 공기압 도면기호
(그림보면서 공부)
제가 직접 정리한 것들입니다.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하고
퍼가시진 않으셨으면 합니다... 꼭 합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