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밀가공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밀가공]마이크로 가공 마이크로 가공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마이크로머신센터 표준화위원회가 제정한 마이크로/나노 가공 또는 미세가공의 정의는 '가공방법 중에서 피가공물의 두께 방향 치수와 가공 면의 횡방향 치수가 모두 미세하고 정밀한 가공'을 의미합니다. 일부에서는 '500㎛ 이하 정밀도를 가진 가공을 마이크로가공' 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최소 가공치수를 가공분해능이라고 하며, 정밀가공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종합가공정도를 가공변수로 채택합니다. 종합가공정도는 편향오차(정확도)와 격차오차(정밀도)의 합, 즉 허용공차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가공분해능은 정확도 폭 σ를 초과하지 않고, 초정밀 가공한계는 1nm 이하로 정합니다. 이것은 수치제어 EEM(Elastic Emission Machining) 또는 ELID(E.. [정밀가공]고속가공용 공구의 미래 절삭공구는 최근 부품의 경량화와 고강도화를 통해 각종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고강도흑연주철(CGI), 인코넬 및 티타늄합금 등 난삭재의 고효율 가공과 첨단산업의 글로벌 시장선점에 있어서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친환경 자동차 및 항공·우주 등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각종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경량화와 고강화가 우수한 난삭재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보잉사와 그로벌 자동차 메이커의 사례를 예로 들수 있습니다. 보잉사는 항공기의 기체중량을 줄여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787 드림라이너의 동체(body)에 50%의 CFRP를 적용하여 연료효율을 20% 향상시켰고 벤츠, BMW, 포드, 아우디 등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은 경량화를 위해 CFRP, 고장력강.. [정밀가공]칩유동(chip flow) 특성 칩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는 공작물의 재질(연질/경질), 절삭속도, 절삭깊이, 공구의 형상(공구의 경사각, 공구의 전면과 절삭방향 수직면 사이각), 칩의 변형전 두께,칩과 공구의 경사면간의 마찰정도 등이 있습니다. 절삭공정의 칩유동 특성에 대해서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칩생성 기구에 따라 절삭력, 소요동력, 절삭온도가 변하게 된다는 사실을 설명하는 것으로 가능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cutting tool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공작물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완벽히 제어한다기 보다 얼마나 덜 발생하게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출 수 밖에 없으며, 이는 피삭제 보다는 실질적으로 가공하는 도구(tool)의 선정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버(burr)와 유사한 점이라고..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