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 (22)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반기계기사]기계제작법 part 최다빈출 정리 이번에는 15년~19년 출제된 기계제작법 part를 정리해봤습니다. 기계제작법 part도 출제되는 문제수에 비해 양이 엄청납니다. 자주 출제되는 부분을 위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솔직히 정리된 내용 이외의 부분은 그냥 찍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라이저(riser, 덧쇳물)의 역할 - 주형 내의 쇳물에 압력을 준다. - 금속이 응고할 때 체적감소로인한 쇳물부족을 보충한다. - 주형 내에 가스를 방출시켜 수축공현상을 방지한다. - 주형 내의 불순물과 용제의 일부를 밖으로 내보낸다. •피복제의 역할 - 용착효율을 높인다. - 아크를 안정하게 한다. - 대기 중의 산소, 질소의 침입을 방지하고 용융금속을 보호한다. - 스패터를 적게 발생시킨다. - 모재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한다. - 응고와 냉각속도를 지연.. [일반기계기사]유압공학 part 최다빈출 정리 지난번 업로드한 기계재료 part와 마찬가지로 이번에 업로드한 유압공학 part, 앞으로 업로드할 기계제작법 part는 외워야하는 양이 엄청 많은 part입니다. 고득점이 아닌 합격이 목표인 시험이기 때문에 이런 part들은 기출에 많이 나온 부분들을 먼저 공부하고 시간이 여유있거나 불안하다면 그 나머지 부분들을 공부해서 채워가는 식의 공부법이 좋을 듯 합니다. 제 1장. 유압기기의 일반사항 •파스칼의 원리 밀폐된 용기 속에 있는 액체에 가한 압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은 크기(세기)로 작용한다. 유압 프레의 작동원리의 바탕이며 사용예시로는 유압잭이 있다. •유압장치의 장,단점 ①장점 -입력에 대한 출력의 응답이 빠르다.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원격 조작이 가능하다. -.. [일반기계기사]기계재료 part 최다빈출 정리 이번에는 기계재료 part에 대해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공부를 하시다보면 출제되는 문제수에 비에 양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을 알게 될겁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이런식으로 외우는 part는 많이 출제된 부분 위주로 먼저 공부를 한 후 그 주변을 공부해서 과락을 방지하는 느낌으로 공부하는게 합격전략이 될 것 같습니다. 정리된 양이 많다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최소한 이정도는 알고 시험을 치셔야합니다. 먼저 일반기계기사에 출제되는 Fe-C Phase Diagram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Fe-C Phase Diagram 》 우선적으로 위에 그림을 다 알고 계시는게 이후에 정리되는 열처리 등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겁니다. 이제 Fe-C Phase Diagram에 관련된 내용정리와 나머지 부분 정.. [일반기계기사]제 2편 열역학 최다빈출 정리 일반기계기사 시험 문제는 5파트로 구성되며 합격을 하기 위해서는 "평균 60점 & 과목별 40점 미만의 과목X" 의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합니다. ex) 70 70 65 65 50 → 합격, 100 100 90 90 35 → 불합격 따라서 보통 이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의 경우 고득점이 아닌 합격을 목표로 공부하는게 대다수 일겁니다. 다음은 과락(?) 방지를 위한 최다빈출 내용들을 정리한 것들입니다. 모든 내용을 포함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한 점수를 원하시면 별도의 공부를 필요로 하며, 정리된 내용부터 공부를 한 후, 나머지 내용을 채우는 효율적 공부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아마 정리된거 보고 기출을 돌리다 보면 정말 많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 정압, 정적, .. 외팔보(Cantilever)의 전단력&모멘트 선도② :: SFD&BMD 이번에는 외팔보에 분포하중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일반기계기사 19년 4회차 기출문제에 나온 그림입니다. 문제를 풀어나가는 순서는 이전에 설명드린 큰 틀과 동일합니다. "반력을 구하고, 구간을 나눌 필요가 있으면 구간을 설정하여 전단력과 모멘트를 구한다'' 이 문제의 경우 반력을 구할 때 분포하중을 집중하중으로 바꾸어 구해야 합니다. 반력을 구했다면 구간을 나누어 줄 차례입니다. 외팔보의 처음부터 0.3m까지는 분포하중이 걸리지 않고, 그 이후에는 분포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위의 풀이와 같이 두 구간으로 나눠야 합니다. 전단력과 모멘트를 구할 때 길이에 따른 '함수'라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일반기계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설명드린 정도의 내용만 알면 거의 충분하.. 외팔보(Cantilever)의 전단력&모멘트 선도① :: SFD&BMD 공대생들이 재료(고체)역학 과목에서 배우는 내용입니다. 또한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분들의 경우 일반기계기사 시험을 준비할 때에도 다시 한번 다루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해당 과목을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의 경우 외팔보에서의 부호 규약, 다양한 하중 조건 등을 고려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아 외팔보에서의 전단력과 모멘트 선도를 그리는 방법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큰 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반력(reaction force) 구한다. 2. 필요한 경우 구간을 나눈다. 3. 하중 조건&부호 규약을 적용하여 전단력과 모멘트을 구한다 4. 전단력과 모멘트 선도를 그린다. 글로만 보면 사실 별거 없다고 생각되실 겁니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경우나 오랜만에 문제를 푸는 경우 순간적으로 잘 안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