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공학
외팔보(Cantilever)의 전단력&모멘트 선도① :: SFD&BMD
공대생들이 재료(고체)역학 과목에서 배우는 내용입니다. 또한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분들의 경우 일반기계기사 시험을 준비할 때에도 다시 한번 다루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해당 과목을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의 경우 외팔보에서의 부호 규약, 다양한 하중 조건 등을 고려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아 외팔보에서의 전단력과 모멘트 선도를 그리는 방법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큰 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반력(reaction force) 구한다. 2. 필요한 경우 구간을 나눈다. 3. 하중 조건&부호 규약을 적용하여 전단력과 모멘트을 구한다 4. 전단력과 모멘트 선도를 그린다. 글로만 보면 사실 별거 없다고 생각되실 겁니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경우나 오랜만에 문제를 푸는 경우 순간적으로 잘 안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
-
기계공학
외팔보(Cantilever)의 전단력&모멘트 선도② :: SFD&BMD
이번에는 외팔보에 분포하중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일반기계기사 19년 4회차 기출문제에 나온 그림입니다. 문제를 풀어나가는 순서는 이전에 설명드린 큰 틀과 동일합니다. "반력을 구하고, 구간을 나눌 필요가 있으면 구간을 설정하여 전단력과 모멘트를 구한다'' 이 문제의 경우 반력을 구할 때 분포하중을 집중하중으로 바꾸어 구해야 합니다. 반력을 구했다면 구간을 나누어 줄 차례입니다. 외팔보의 처음부터 0.3m까지는 분포하중이 걸리지 않고, 그 이후에는 분포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위의 풀이와 같이 두 구간으로 나눠야 합니다. 전단력과 모멘트를 구할 때 길이에 따른 '함수'라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일반기계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설명드린 정도의 내용만 알면 거의 충분하..
-
기계공학
[유압공학]파일럿 압력 체크밸브
≪ 파일럿 압력 체크밸브의 구조, 원리 및 적용사례 ≫ 파일럿 압력 체크 밸브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논-리턴밸브의 종류와 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논-리턴밸브는 작동유의 바이패스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며 그 종류로는 체크밸브와 파일럿 작동형 체크밸브가 있습니다. 체크밸브는 한쪽 방향으로만 흐름을 허용하는 밸브로 흐름의 차단시 누유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체크밸브는 포펫 형태로 구성되며 매우 약한 스프링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일럿 작동형 체크밸브는 간접 작동형 체크밸브라고도 하며 마찬가지로 체크밸브이기 때문에 역류를 방지하게 하는 밸브입니다. 그림을 가지고 구조와 원리를 같이 설명해 보겠습니다. 평상시에는 B에서 A로의 통로가 막혀 있습니다. X포트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할 때, 파일럿 피..
-
모든 리뷰
메가박스 '오리지널 티켓 북'
최근 개봉한 '뮬란'을 보기 위해 영화관을 갔습니다 :) 메가박스에서 영화를 보다보니 점점 '오리지널 티켓'이 늘어나 관리의 필요성이 느껴졌습니다. 마침 콤보 4000원 할인 쿠폰이 있어서 '오리지널 티켓북 콤보'를 할인 받아서 구매했습니다. '오리지널 티켓 북'을 단품으로 구매할 경우 16500원이며 아래의 사진과 같이 '오리지널 티켓 북 콤보'로 주문할 경우 18500원 입니다. 4000원 할인을 받을 경우 14500원이 되니 제 입장에서는 음료와 팝콘을 다 안먹어도 콤보로 사는게 이득(?) 이라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색상은 흰색과 녹색이 있었는데 9월 말 기준으로 제가 구매한 영화관에서는 녹색은 이미 다 나가서 흰색만 받을 수 있었습니다. 혹시나 다른 색상을 원하시는 분들은 방문하는 곳에 해당 색상..
-
기계공학
[정밀가공]칩유동(chip flow) 특성
칩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는 공작물의 재질(연질/경질), 절삭속도, 절삭깊이, 공구의 형상(공구의 경사각, 공구의 전면과 절삭방향 수직면 사이각), 칩의 변형전 두께,칩과 공구의 경사면간의 마찰정도 등이 있습니다. 절삭공정의 칩유동 특성에 대해서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칩생성 기구에 따라 절삭력, 소요동력, 절삭온도가 변하게 된다는 사실을 설명하는 것으로 가능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cutting tool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공작물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완벽히 제어한다기 보다 얼마나 덜 발생하게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출 수 밖에 없으며, 이는 피삭제 보다는 실질적으로 가공하는 도구(tool)의 선정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버(burr)와 유사한 점이라고..
-
기계공학
[일반기계기사]기계재료 part 최다빈출 정리
이번에는 기계재료 part에 대해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공부를 하시다보면 출제되는 문제수에 비에 양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을 알게 될겁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이런식으로 외우는 part는 많이 출제된 부분 위주로 먼저 공부를 한 후 그 주변을 공부해서 과락을 방지하는 느낌으로 공부하는게 합격전략이 될 것 같습니다. 정리된 양이 많다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최소한 이정도는 알고 시험을 치셔야합니다. 먼저 일반기계기사에 출제되는 Fe-C Phase Diagram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Fe-C Phase Diagram 》 우선적으로 위에 그림을 다 알고 계시는게 이후에 정리되는 열처리 등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겁니다. 이제 Fe-C Phase Diagram에 관련된 내용정리와 나머지 부분 정..
-
기계공학
[유압공학]압력 보상형 유량제어 밸브
≪ 압력 보상형 유량제어 밸브의 구조, 원리 및 적용사례 ≫ 압력 보상형 유량제어 밸브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유량제어 밸브를 어떻게 분류하는지와 각각의 특징들을 설명함으로써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의 구조, 원리, 적용사례 등을 말해보겠습니다. 유압 유량제어 밸브는 크게 유량제어 밸브와 압력보상형 유랑제어 밸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량제어 밸브는 공, 유압에 다 있으며, 교축부의 길이가 교축 직경보다 더 긴 형태인 Restictior 형과 교축부의 길이가 교축 직경에 비해서 짧은 경우인 Orifice 형이 있습니다. 하지만,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는 유압에만 있고, 온도까지 보존시켜주는 압력온도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도 존재합니다.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는 유량제어 밸브의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
기계공학
[정밀가공]버(burr)의 정의, 생성원인, 종류
Burr는 우리말로 "버"라고 읽으며 다른 말로 "이바리"라고 합니다. 버는 홀을 가공할 때 생기는 표면에 깨끗히 가공되지 않고 띠 모양으로 돌출된 부분을 말합니다. 주로 공작물이나 판금물의 홀 가공, 레이저 가공 시에 발생하기도 합니다. 버는 표면에 홀을 가공하면서 쇠를 깎는 현상 즉, 공작기계에서 표면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칩(Chip) 과 같은 원리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물리적으로 표현하면 표면에 홀과 같은 임의 가공을 하는 과정에서 공작물의 표면 상태가 불량하거나 휘어 있는 상태로, 횡 방향으로 표면이 찢겨져 나가면서 불완전한 마감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공작물의 내부보다는 입구/출구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만약 기계 부품에 발생한 버를 초기에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