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계공학

(10)
[유압공학]튜브의 종류별 특징 1.강관(steel pipe)의 종류, 특징 및 그 용도 -이음매가 없는 것과 이음매가 있는 것으로 나뉘기도 한다. -이음매 없는 강관은 양질의 평로강 또는 전기로강을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인발에 의해 제작한다. -재질에 따라 탄소강 강관, 스테인리스강 강관, 합금강 강관 등이 있다. -대형관은 용접기술의 발달로 나선형 용접관이 많이 사용한다. ①배관용 탄소강 강관 사용압력이 0~1.5[MPa]으로서 350℃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사용한다. 아연도금을 하지 않는 흑관과 아연 도금한 백관이 있다. ②압력 배관용 탄소강 강관 고압용 이외의 사용압력 1.5~10[MPa]이고, 350℃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사용한다. ③고온 배관용 탄소강 강관 사용압력 10~20[MPa]이고, 350℃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사..
[유압공학]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의 대표적 예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기(磁氣) 코어가 있는 솔레노이드(전자석)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오리피스(Orifice)를 포함한 밸브 몸체를 구성하고 있는 두 개의 기본부품 조합입니다. 오리피스를 통한 유체의 흐름은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통할 때 또는, 전류가 통하지 않을 때 코어의 움직임에 의해 닫히거나 열리면서 제어됩니다. 직동 밸브(Direct Acting Valve)에서는 솔레노이드에 전기가 통했을 때 코어가 직접 평상시 닫혀 있는(Normally Closed) 밸브의 오리피스를 열거나, 또는 평상시 열려 있는(Normally Open) 밸브의 오리피스를 닫습니다. 이러한 밸브는 압력이 '0’일 때 최고 정격압력 사이..
[유압공학]플로우 디바이더의 작동원리 플로우 디바이더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흐름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하는 유압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단일 펌프가 둘 이상의 회로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비례 플로우 디바이더의 두 종류는 스풀 버전인 기어 또는 로터리 디자인이 있습니다. 먼저 스풀 형태의 플로우 디바이더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스풀 디바이더들은 유입 흐름을 두 개의 출력 흐름으로 비례적으로 분할합니다. 스풀 디바이더의 주요 구성 요소는 입구 포트와 2 개의 출구 포트가 있는 하우징입니다. 내부에 움직일 수 있는 스풀이 있고 이 스풀은 스풀 길이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 흐름 통로에 의해 이등분된 중간 점 섹션을 통과하는 드릴 구멍이 있습니다. 스풀은 하우징에서 자유롭게 앞뒤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유입구의 흐름은 스풀 중..
[정밀가공]마이크로 가공 마이크로 가공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마이크로머신센터 표준화위원회가 제정한 마이크로/나노 가공 또는 미세가공의 정의는 '가공방법 중에서 피가공물의 두께 방향 치수와 가공 면의 횡방향 치수가 모두 미세하고 정밀한 가공'을 의미합니다. 일부에서는 '500㎛ 이하 정밀도를 가진 가공을 마이크로가공' 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최소 가공치수를 가공분해능이라고 하며, 정밀가공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종합가공정도를 가공변수로 채택합니다. 종합가공정도는 편향오차(정확도)와 격차오차(정밀도)의 합, 즉 허용공차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가공분해능은 정확도 폭 σ를 초과하지 않고, 초정밀 가공한계는 1nm 이하로 정합니다. 이것은 수치제어 EEM(Elastic Emission Machining) 또는 ELID(E..
[유압공학]파일럿 압력 체크밸브 ≪ 파일럿 압력 체크밸브의 구조, 원리 및 적용사례 ≫ 파일럿 압력 체크 밸브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논-리턴밸브의 종류와 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논-리턴밸브는 작동유의 바이패스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며 그 종류로는 체크밸브와 파일럿 작동형 체크밸브가 있습니다. 체크밸브는 한쪽 방향으로만 흐름을 허용하는 밸브로 흐름의 차단시 누유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체크밸브는 포펫 형태로 구성되며 매우 약한 스프링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일럿 작동형 체크밸브는 간접 작동형 체크밸브라고도 하며 마찬가지로 체크밸브이기 때문에 역류를 방지하게 하는 밸브입니다. 그림을 가지고 구조와 원리를 같이 설명해 보겠습니다. 평상시에는 B에서 A로의 통로가 막혀 있습니다. X포트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할 때, 파일럿 피..
[유압공학]압력 보상형 유량제어 밸브 ≪ 압력 보상형 유량제어 밸브의 구조, 원리 및 적용사례 ≫ 압력 보상형 유량제어 밸브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유량제어 밸브를 어떻게 분류하는지와 각각의 특징들을 설명함으로써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의 구조, 원리, 적용사례 등을 말해보겠습니다. 유압 유량제어 밸브는 크게 유량제어 밸브와 압력보상형 유랑제어 밸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량제어 밸브는 공, 유압에 다 있으며, 교축부의 길이가 교축 직경보다 더 긴 형태인 Restictior 형과 교축부의 길이가 교축 직경에 비해서 짧은 경우인 Orifice 형이 있습니다. 하지만,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는 유압에만 있고, 온도까지 보존시켜주는 압력온도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도 존재합니다.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는 유량제어 밸브의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에 의해..
[정밀가공]고속가공용 공구의 미래 절삭공구는 최근 부품의 경량화와 고강도화를 통해 각종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고강도흑연주철(CGI), 인코넬 및 티타늄합금 등 난삭재의 고효율 가공과 첨단산업의 글로벌 시장선점에 있어서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친환경 자동차 및 항공·우주 등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각종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경량화와 고강화가 우수한 난삭재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보잉사와 그로벌 자동차 메이커의 사례를 예로 들수 있습니다. 보잉사는 항공기의 기체중량을 줄여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787 드림라이너의 동체(body)에 50%의 CFRP를 적용하여 연료효율을 20% 향상시켰고 벤츠, BMW, 포드, 아우디 등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은 경량화를 위해 CFRP, 고장력강..
[정밀가공]고속가공의 특성 고속 가공은 높은 스핀들 속도와 이송 속도로 가벼운 밀링 패스를 만들어 높은 금속 제거율을 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방법은 금형 가공에서 복잡한 코어 및 캐비티 형상을 가공하고 알루미늄의 단단한 블록에서 크고 복잡한 항공기 구조 부품을 신속하게 가공하는 데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고속가공의 정성적 의미는 주변 영역에서 전단의 국부화가 완전히 일어나는 속도 이상의 가공이고, 정량적 의미는 기존 가공 방법에 비해 높은 주축 회전수와 빠른 이송속도로 가공하는 것입니다. 이 전략은 약간의 깊이에서 약간의 패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종종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장 짧은 절삭 시간을 달성하는 것은 이송 속도와 관련이 있지만, 관계가 반드시 '가장 빠른 이송 속도 = 가장 효율적'인 것은 아닙니다. 고효율..